국제소식

서울 다녀왔더니 눈물 찔끔.. 中 젊은층 홀린 '서울병'의 정체는?

 최근 중국 젊은층 사이에서 한국, 특히 서울을 다녀온 후 극심한 그리움을 호소하는 이른바 '서울병(首尔病)' 현상이 확산하며 새로운 문화 트렌드로 주목받는다. 이는 단순한 여행 후기를 넘어,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 재방문 열망을 담고 있어 양국 간 문화 교류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중국 최대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더우인(틱톡)과 샤오훙수(인스타그램)에는 '서울병이 심해졌다', '서울에서 살고 싶다' 등의 해시태그와 함께 서울 여행 경험을 공유하는 글과 영상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특히 더우인에 게시된 한 '서울병' 관련 영상은 수십만 개의 '좋아요'를 받으며 뜨거운 공감을 얻었으며, "길을 헤맬 때 한국인 아주머니가 친절하게 도와줬다", "서울은 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하고 찬란했던 여행지였다", "사진만 봐도 눈물이 난다" 등 서울에서의 긍정적인 경험과 그리움을 표현하는 댓글들이 쇄도하였다. 샤오훙수에서도 "서울의 공기는 사람을 기분 좋게 만드는 마법 같다", "대학가 근처 노래방과 포장마차가 눈앞에 아른거린다"며 서울의 일상적인 풍경과 정취에 대한 깊은 향수를 드러내는 반응이 이어졌다.

 

이러한 '서울병' 현상은 단순히 K-팝이나 K-드라마와 같은 한류 콘텐츠에 대한 소비를 넘어, 서울이라는 도시 자체의 매력에 깊이 빠져든 젊은 세대의 감성을 보여준다. 깨끗하고 안전한 거리, 편리한 대중교통, 세련된 패션과 뷰티 트렌드, 그리고 다채로운 미식 경험까지, 서울이 제공하는 총체적인 경험이 이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있는 것이다. 특히 예상치 못한 순간에 만난 한국인의 따뜻한 친절은 이들에게 잊지 못할 감동을 선사하며, 서울을 단순한 여행지를 넘어 '정(情)'이 있는 곳으로 각인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실제로 이러한 문화적 매력은 통계 수치로도 확인된다. 한국관광공사 데이터랩 집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252만 7천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4% 증가하였다. 이는 '서울병' 현상이 온라인상의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실제 관광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더욱이 오는 29일부터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이 한시적으로 허용되고, 중국의 최대 연휴인 국경절·중추절(10월 1~8일)이 맞물리면서 '유커(游客)' 특수에 대한 기대감은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된다. '서울병'을 앓는 젊은 중국인들이 대거 한국을 찾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한국 관광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양국 간 문화적 이해를 더욱 심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병'은 이제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자, 미래 한국 관광 시장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한다.